총장 직선제 변화 ...
지방대학 총장 직선제 ‘변화 바람’ 분다
“줄서기·파벌폐해 심각 개혁 걸림돌” 비판 일어
초빙위원회 설치·외부인사 개방…개선안 잇따라
정대하 기자 박영률 기자
≫ 지방대학 총장 직선제 ‘변화 바람’ 분다
지역 거점 국립대와 사립대에서 총장 직접선거 제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대학 민주화를 거치면서 많은 학교에서 총장을 직접선거로 뽑는 제도를 도입했으나, 일부 폐해가 나타나 직선제를 폐지하거나 보완하는 대학들이 늘어나고 있다.
전남대의 한 교수는 총장 직선제가 대학사회의 ‘뜨거운 감자’라고 표현했다. 이 교수는 “요즘은 학장 선거까지 줄서기와 파벌의 폐해가 심각하다”며 “88년 이후 대학 민주화 과정에서 도입된 총장 직선제가 이제 대학 개혁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총장선거의 혼탁양상과 논공행상식 보직인사 등 문제점을 없애려면 직선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남대 평의원회는 총장후보자를 선출할 초빙위원회를 두는 안을 마련하고 있다. 총장선거제도개선 특별위원회의 여론조사 결과, 총장선출 방식 가운데 ‘초빙위+직접선거’에 찬성하는 비율이 66%로 압도적이었다. 초빙위 제도가 도입되면 교외 인사도 총장 후보가 될 수 있다. 평의원회는 학내·외 인사로 구성되는 초빙위에서 총장 후보자를 4명 정도 선정한 뒤 직접선거하는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전남대 평의원회 최용국 의장은 “리더십 있는 외부 인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이달 20일께 열리는 학장회의에서 설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내년 6월 총장선거를 치르는 경북대도 직선제 개선안을 마련중이다. 지난 5월 발족된 교수회 총장선출규정 특별위원회(위원장 이재열 교수)는 △외부인사에 문호 개방 △총장후보 초빙위원회 구성 등의 내용이 포함된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 경북대 교수협의회 김석진(경영학부) 의장은 “초빙위를 두면 사전 과열 선거운동을 막을 수 있고, 사전에 부적격 후보를 거를 수 있다”고 말했다.
≫ 전국 4년제 대학 총장 직선제 실태
사립대들도 직선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교과부에서 12월 말까지 한시적 임시이사가 파견된 조선대의 유수택 이사장은 “연말까지 총장 직선제를 폐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차기 총장 선거에서 부작용을 없앨 수 있다”고 밝혔다. 조선대 교수평의회·총동창회·직원노조·학생회 등 대학자치운영협의회(대자협)는 지난해 8월 말 다음 선거부터 ‘직접선거 형태의 선출방식을 가급적 지양하자’고 합의했다. 조선대는 직·간선 혼합형, 간선제, 공모제, 합의추대 등 선출 방식을 검토한 뒤 적정한 방안을 이사회에 내놓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총장선거를 치른 영남대는 총장 후보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총장 후보자 선정위원회를 도입하는 등 비교적 잡음 없이 총장선거를 치렀다. 20년 동안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되다가 이번에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쪽 사람들이 이사진을 장악한 영남학원(영남대·영남이공대)은 앞으로 총장 직선제를 손볼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대학 내 문제점의 책임을 모두 직선제에 돌리는 것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부산대 평의회 정용하(정치외교학과 교수) 의장은 “최근 총장 직선제의 폐해만 부각시키는 경우가 많다”며 “과거처럼 ‘관선 총장’이 임명된다고 해서 파벌과 줄서기 등의 폐해가 사라진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직선제의 틀 안에서 대학의 자율의 가치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 대구/정대하 박영률 기자 daeha@hani.co.kr
출처: 한겨레 신문 인터넷판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370253.html
|